메인으로

Space IDEA 2025 - The Spectrum of Existence 5

Aluminium 10×10×40(h)cm 2025
  • KRW 3,000,000
  • 작가소개·약력

    1973 서울 예술 고등학교 졸업 1977 성신여자 사범대학교 미술교육과 졸업 (학사) 1979 성신여자 대학교 대학원 조소학과 졸업 (석사) [경 력] 2025 사단법인 한국조각가협회 명예이사장 2021~학교법인 우일학원(안양대학교) 이사 2020~성신여자대학교 명예교수 2018~ 송정미술문화재단 이사 2019~ 2025 (사단법인) 한국조각가협회 이사장 2017~2020 국립현대미술관 미술은행운영위원장 1995~2021성신여자대학교 조소과 교수 2005~ 성신여자대학교 평생교육원장 역임 2006~성신여자대학교 학생처장역임 2008~2011 성신여자대학교 미술대학 학장역임 2008~2009 성신여자대학교 융합문화예술대학원장 역임 2007~2009 한국여류조각회회장 역임 2016~2019 전국미술대학교육협의회 회장 역임 [수상경력] 2019 광화문아트포럼 올해의 작가상 2015 한국미술협회 공로상 2013 석주문화재단 석주미술상 2011 마니프조직위원회 MANIF 특별상 [심사, 심의 자문경력] 2018 예술의전당 대관심의위원, 매헌 윤봉길의사 동상평가위원, 문화체육관관부 정부미술품 운영위원, 국립현대미술관 미술은행 운영위원, 한국현대조각초대전 운영위원 2017 광화문국제아트페스티벌 심사위원, 한국현대조각초대전 운영위원, 한국토지주택공사 심사위원, 국제장애인 아트페어심사위원, 광화문 국제아트페스티벌 심사위원, 한국교직원 미술대전 추진위원장 2016 한국대학미술교육협의회 부회장, 기초조형학회 특별전시 위원장, 한국현대조각초대전 운영위원, 도시마을 프로젝트 심사위원, SH공사 마곡지구 심사위원 2015 양천구 디자인심의 위원회 위원, 서울국제조각페스타 운영위원장 2014 대한민국 장애인미술대전 심사위원, (사)한국영상미디어협회 기획이사, 추사김정희선생기념사업회 동상 공모 심사위원, 장애인창작아트페어 심사위원, 한국토지주택공사 심사위원, 한국조각가협회 이사, 한국미술시가감정협회 이사 2013 한국도로공사 미술장식품 심사위원, 경기도청 교원단체 경기도 현장교육연구대회 심사위원, 한국방문의해위원회 위원 2012 한국방문의해위원회 위원, 서울시 중랑구 디자인위원회 위원, 서울시 공공미술위원회 위원, 경기도청 교원단체 총연합회 논문심사위원 2011 인천여성비엔날레 자문위원, 서울미술협회 모던아트쇼 운영위원, 한국도로공사 목포-광양 고속도로 준공기념 조형물 심사위원, 국토해양부 4대강 살리기 자문위원, 서울특별시립미술관 운영자문위원회 위원, 한국방문의해위원회 위원, 서울시 공공미술위원회 위원, 경기도청 교원단체 총연합회 논문심사위원 2010 서울시 공공미술위원회 위원, 대한민국 지적장애인 미술대전 심사위원 및 운영위원, 한국토지주택공사 광주지역 미술장식품 심사위원, LH 파주시 미술장식품 심사위원, SH공사 미술장식품 심사위원, 경기도청 교원단체 총연합회 논문심사위원, 서울시 중랑구 디자인위원회 위원 2009 경기도청 교원단체 총연합회 논문심사위원, 남양주시 미술장식품 심의위원, 주택공사 경기지역 미술장식품 심사위원, 서울시 세종대왕 동상 작가선정위원 2008 대한주택공사 인천지역 미술장식품 심사위원, 한국농촌공사 100주면 기념탑 응모작품 심사위원, 대구도시공사 창사20주년 기념조형물 심사위원, 주택공사 서울지역 미술장식품 심사위원, 인천여성미술비엔날레 자문위원 및 이사, 주택공사 광주지역 미술장식품 심사위원, 경기도 현장연구대회 심사위원 2007 주택공사 작품심사위원, 국가기록원 미술장식품 심사위원, 국립현대미술관 미술은행 작품심사위원, SH공사 심사위원, 안산시 미술장식품 심의위원, 서울시 미술장식품심의위원 2006 서울 정신지체인 미술작품전 심사, 의왕시 참전유공자 기념비 작품심사, 안산시 미술장식품 심의위원, 부평역사박물관 야외조각작품 심의, 서울시미술장식품심의위원, 경기미술대전 심사위원, 안산 종합운동장 주경기장 상징조형물 공모전 심사위원 2005 제 24회 대한민국미술대전 심사위원, 성남아트센터 미술장식품 심사위원, 김천시 간선도로변 조형물 제작 설치 공모작품 심사위원, 광진구 상징조형물 공모 심사위원, 대한주택공사 미술장식품설치 공모작품 심사위원 2004 대구U대회 기념 상징조형물심사, 김천시 체전 상징조형물 심사, 안산시미술장식품 심사위원. 도봉구 환경조형물 기술자문위원내린천 조형물 건립추진위원회 위원 2003 서울 미술장식품 심의위원, 서울 건축위원회 미술장식품 분과위원 [개인전] 2021- MANIF 26!18SEOUL, 예술의 전당, 서울, 대한민국 2020- MANIF 25!18SEOUL, 예술의 전당, 서울, 대한민국 2019- Aoki Gallery, 동경, 일본 2018- MANIF 24!18SEOUL, 예술의 전당, 서울, 대한민국 2017- MANIF 23!17SEOUL, 예술의 전당, 서울, 대한민국 2016- 예술의 기쁨 김세중기념조각전시실, 서울, 대한민국 / Gallery ARTSPACE H, 서울, 대한민국 / Aoki Gallery, 동경, 일본 2015- MANIF 21!15SEOUL, 예술의 전당, 서울, 대한민국 2014- bcs gallery, 뉴욕, 미국 / MANIF 20!14SEOUL, 예술의 전당, 서울, 대한민국 2013- MANIF 19!13SEOUL, 예술의 전당, 서울, 대한민국 2012- MANIF 18!12SEOUL, 예술의 전당, 서울, 대한민국 / KIPS Gallery, 뉴욕, 미국 2011- MANIF 17!11SEOUL, 예술의 전당, 서울, 대한민국 2010- MANIF 16!10SEOUL, 예술의 전당, 서울, 대한민국 2009- MANIF 15!09SEOUL, 예술의 전당, 서울, 대한민국 / NATSUKA Gallery, 동경, 일본 2008- 서울국제현대미술축제, 서울, 대한민국 2007- NATSUKA Gallery 동경, 일본 / 갤러리쿤스트독, 서울, 대한민국 2006- 모란미술관, 서울, 대한민국 / Saoh Gallery, 동경, 일본 2005- GARANDO Gallery, 나고야, 일본 2003- 갤러리 아트사이드, 서울, 대한민국 2001- 목암 미술관, 서울, 대한민국 2000- 금산 갤러리, 서울, 대한민국 1997- 갤러리 2000, 서울, 대한민국 1995- GARANDO Gallery, 나고야, 일본 1994- 갤러리 마을, 서울, 대한민국 1993- 유경 갤러리, 서울, 대한민국 1989- 갤러리 현대, 서울, 대한민국1983- 청년미술관, 서울, 대한민국 1980- 미술회관, 서울, 대한민국 1978- 청년작가회관, 서울, 대한민국 [단체전 및 초대전] 2025 청주네오아트센터 신년기획 초대전 ‘조각(助各)이 조각(彫刻)되어’ 2024 제40회 사단법인 한국조각가협회전 / 문화체전 특별전 x 동아시아 조각 페스티벌 <동행> / 서울조각전시+ 감성 한 조각 / 한국여류조각가회 50주년기념전 ‘50년 이후, 또 한해’ 제13회 서울국제조각페스타 2023 아트 서울 특별전 [조각의 시간:울림] 춘천MBC 2023 한국현대조각초대전 / 서울예술고등학교 개교 70주년 기념 동문전 / 제21회 세계한상대회 ‘SHAPRE OF MASS‘ 개관전 / 헤이리판야외조각전 2023 / 톈진 한중조각교류전 / 동아시아의 문화도시:한,중,일 조각초대전 / 아이프칠드런 <2023 엔젤아티스트 특별초대전 - Art For All> / 제12회 서울국제조각페스타 2022 여류(김종영미술관) 조각가협회 정기전(코사갤러리) / 48회 성신조각회전(혜화갤러리) 2021 김포국제조각공원 특별전 / 여권통문전(조은정 기획) 춘천 MBC 조각초대전 2019 제46회 성신조각회전(미술세계갤러리) / 제3회 한국교직원미술대전 특별전(예술의 전당) / 희수갤러리 초대전 / 춘천MBC조각 초대전 2018 제45회 성신조각회전 MADONNA(가온전시실) / 2018 야외설치미술전(양평군립미술관) / INTERNATIONAL SCUPTURE ART EXPOSITION (중국 취양) 2017 제44회 성신조각회전 (c아트뮤지엄) / 2017한국기초조형학회 서울 국제기획초대작품전 (예술의전당 한가람 미술관 1층) / 2017 한국현대조각초대전 (춘천 MBC 호반광장) 조각을 만나는 백가지 방법 (코사아트 스페이스) 2016 성신조각회전(아트스페이스 에이치) / FRIEND-SHIP MENTOR MENTEE(한원미술관) / METAL SPIRIT (코사스페이스 갤러리) / 제7회 서울모던아트쇼 (예술의전당 한가람미술관) / 2016한국기초조형학회 서울 국제기획초대작품전 (예술의전당 한가람미술관) / ART BUSAN 2016 (BEXCO 전시홀 1) / 한국여류조각가회 (갤러리 1898) / 2016 한국현대조각초대전 (춘천 MBC 호반광장) / MANIF 22! 2016 SEOUL (예술의전당 한가람미술관) / 48인의 집단 미성 (관훈갤러리) / 가을 이야기 전 (갤러리 사이) 2015 제25회 쎈토이와 함께하는 한국구상조각대전 (갤러리아트스페이스H) / 서울국제조각페스타 2015 (예술의 전당) / 2015 Taiwan international miniature sculpture exhition (Tswei-xi gallery) / TOW by TOW (나무화랑) 개관 4주년 기념 / <리얼 라이트>전 (양평군립미술관) / J.HOON GALLERY 개관전- 이미지와 생명의 기원 (J.HOON GALLERY) / MUSEUM 277 AVENUE 한국조각가협회 초대전 (MUSEUM 277 AVENUE) 2014 서울국제조각페스타2014 (예술의전당 한가람 미술관) / 성신조각40주년 축하초대전 (c아트뮤지엄) / 한국조각가협회전 (kosa space ) ‘돌’ 로생각하다 전 (ilho gallery) / 24회 광장조각회정기전 (서울시립경희궁미술관) / ASIA HOTEL ART FAIR HONG KONG2014 (harbor city hotel) / 바운조각포럼 (바움아트 갤러리) / 한국여류조각회40년사 출판기념전 (미술세계갤러리) / 2014 김종영미술관 초대전 (김종영미술관) / 예상청도 중.일.한조각전 (중국 청도조소관) / Iwa 특별전 (문화의 집 미술관) 2013 Portrait of Korea (Kuandu Museum of Fine Arts,TNUA) / 광장조각회 정기전 (서울시립 경희궁미술관 1관) / 성신조각회40주년 기념전 '역사로 보는 성신조각 이야기' (상암 DMC홍보관 갤러리) / 서울예술고등학교 개교 60주년 기념 특별전 '예술-영원한빛' (예술의전당 한가람미술관) / 서울국제조각페스타2013 (예술의 전당 한가람미술관) / 제9회 광화문국제아트페스티벌 (세종문화회관 미술관) 2012 親交:멘토 멘티 (한원미술관) / 韓.日 現代彫刻展 (Korean Cultural Center, 일본) / ART GYEONGJU2012 (경주 예술의 전당) / 제34회 한국여류조각가회 (화봉갤러리) / 한.일 현대 조형전 (공평아트센터 공평갤러리) / 제28회 한국조각가협회전 (서울시립미술관 경희궁 분관) / 레고레타-그의 공간을 품다 (더 갤러리 카사 델 아구아, 제주) 2012 조각의 아이콘-성신조각회 (DMC 홍보관 갤러리) / Metal Spirit (갤러리 그림손) / 한국조각가전 (이탈리아 피에트라산타) / 서울모던아트쇼 (양재동 aT센터) / 조각그룹 광장 정기전 (SAIT 갤러리) / 서울국제조각페스타 2012 (예술의 전당 한가람미술관) / 제8회 서울미술협회전 (서울시립미술관 경희궁 분관) 2011 서울모던아트쇼 (세종문화회관 미술관) / 대한민국 조각포럼 특별전-조각의 산책 (서울시립미술관 경희궁 분관) / 아시아현대조각회 / 서울예술고등학교 뉴욕전 (첼시 Kips 갤러리) / 조각그룹 광장 정기전 (SAIT 갤러리) / Haiku-Sculpture (타이페이 국립예술대학교) / Metal Spirit (한전아트센터 갤러리) / 5월의 들판에 핀 조각전 - 2011 메이필드호텔 중견작가 초대전 (메이필드호텔) / 서울국제조각페스타 2011 (예술의 전당 한가람미술관) 2010 서울미술대전 (서울시립미술관) / 태화강국제설치미술제 (울산 태화강) / 대한민국 조각포럼 특별전-조각의 산책 (밀레니엄 서울 힐튼) / ASIA TOP GALLERY HOTEL / ART FAIR SEOUL (서울 신라호텔) / 아시아 현대조각 (대만) / 한국여류조각가회-깊고 푸른 서울展 (서울시립미술관 경희궁 분관) / fnnews art festival (세종문화회관 미술관) / 한국조각가협회전 (서울시립미술관 경희궁 분관) / 작은작품 큰사랑 나눔展 갤러리빨강등대 개관기념 초대전 (갤러리빨강등대) / 북경아트페어 (중국 북경 금일미술관) 2009 세계평화미술 초대작가전 (아트스페이스)한국의 금속미술-두드리고다듬다 (이화여자대학교 박물관) / 아시아 현대미술제 경계전 (광주시립미술관) / 2009 인천여성미술비엔날레-멀리그리고가까이 (인천아트플랫폼) / 대한민국 조각포럼 특별전-조각의 산책 (밀레니엄 서울힐튼) / 한국조각가협회전 (서울아트센터공평갤러리) / 홍콩호텔아트페어 (홍콩) 2008 조각그룹 광장 정기전 (모란갤러리) / 제35회 성신조각회전 (모란갤러리) / 한국여류조각가회-모세혈관전 (서울시립미술관 경희궁분관) / 아트가든전-물성의 변화 (세종문화회관) / 서울디자인올림픽 2008 I LOVE HAECHI (잠실종합운동장) / 제24회 한국조각가협회전 (서울시립미술관 경희궁분관) 2007 BAUM 개관기념전 (바움갤러리) / 조각그룹 광장 정기전 (세종문화회관 미술관) / 성신조각회전 (모란미술관) / 예동전 (그랜드힐튼호텔 컨벤션센터) / Sentir Gallery 개관1주년 기념초대전 (Sentir Gallery) / 제3회 서울미술협회전 (서울시립미술관 경희궁 분관) 2007미술과 놀이-펀스터즈 (예술의전당 한가람미술관) / 캔버스에 음악을 채운다 (국립현대미술관) / 제30회 한울회전 (조선일보 미술관) / 청주국제공예비엔날레 (청주시주최) / 국제인천여성미술비엔날레 (인천학생 교육문화회관) / PURE MASS전, (시청광장) 2006 아시아현대조각회 대만전 (대만) / 로뎅과 함께하는 어린 천사들 (목암미술관) / 성신조각회전 (모란미술관) 2005 현대작가 40인 기획초대전 (갤러리 한) / 갤러리 "서" 개관 기념 초대전 (갤러리 서) / 성신여자대학교 개교40주년 기념전 (모란갤러리) / 조각그룹 광장 정기전 (세종문화회관 미술관) 2004 제10회 신진작가 발언전 (세종문화회관) / 운정의 향기 (성신여자대학교 수정관 전시실) / 서울시립대학교 조형관 개관 기념전 (서울시립대학교 조형관) / 아시아 현대 조각회 (홍익대학교 현대미술관) / 성신조각회전 (관훈갤러리) / 2004 중국청도한국주 중한미술작품교류전 (청도조각미술관)Espace Homme Nature (목암미술관) / 조각그룹 광장 정기선 (세종문화회관 미술관) 2003 조각그룹 광장 소품전 (KARTI Gallery KARTIUM) / 조각그룹 광장 정기전 (세종문화회관) / Natnre and sculpture (목암 미술관) / 개교 50주년 예우대전 (세종문화회관) / 제30회 성신조각회 (성신여자대학교 수정관 전시실) 2002 제 29회 성신조각회전 (덕원 갤러리) / KOREAN MASS / JAPANESE FIGURE / 공평 아트센터 개관 10주년 기념전 (공평아트센터) / 한국여류조각회를 빛낸 조각가 초대전 (이목 화랑) / 조각그룹 광장 정기전 (나고야) / KASUGAI CITY LIBRARY, CULTURE AND ART CENTER 2001 한국여류조각가 회전 (한국문화예술 진흥원 미술회관) / 제28회 성신조각회전 (서울시립 미술관) / RMIT교수 교류전 (호주 FACULTY GALLERY) / NEW IMAGE OF KOREA AND JAPAN / 한국여류조각회〈사랑 나눔전〉(선 화랑) / 2001 조각그룹 광장 한일 교류전 (예술의전당 미술관) / 조각과 인간의 만남 (의정부 시청, 의정부 예술의 전당) 2000 조각의 언어로 표현한 자연 (목암 미술관 초대) / 새천년 대한민국의 희망전 (목암 현대 미술관) / 성신 35주년 기념 동문전 (예술의 전당) / WING갤러리 개관기념 초대전 (WING 갤러리) / 조각과 나눔전 (윙 갤러리 초대전) / 조각그룹 광장 전 (가산 화랑) 1999 24회 한국 여류조각회전 (미술회관) / 26회 성신조각회전 (공평 갤러리) / ANOTHER SPACE (목암 미술관 초대) / 한서갤러리 개관 기념전 (한서갤러리) / 조각그룹 광장전 (미술회관) 1998 Title - Untitle - Notitle (금호미술관) - 기획 ․ 초대전 / ‘88 서울 올림픽 경축 현대작가 초대전 (신천지 미술관) / ‘88 올림픽 축하기념 한국여류조각가 초대전 (해인 화랑) / 공연 속의 조각전 (국립중앙 극장 초대) - 초대전 / 예우대전 - 창립 45 주년기념 (서울 시립 미술관) / 제25회 성신조각회전 (문예진흥원 미술회관) 1997 23회 한국여류조각가 회전 (미술회관) / 4회 성신조각회전 (종로갤러리) / 서울․나고야 입체조형의 교류전 (원서, 종로갤러리) / 조각그룹 광장전 (원서갤러리) / ’97 광장전 (종로갤러리) 1996 22회 한국여류조각회전 (미술회관) / 조각그룹 광장 소품전 (서울 갤러리) / 나고야 서울입체조형 교류전 (나고야 시립 갤러리) / 23회 성신조각회전 (유경갤러리) / 한국 현대미술 현상과 전망 (고운 미술관) / ’96 조각그룹 광장전 (인사갤러리) 1995 조각그룹 광장 정기전 (미술회관) / 교수 작품전 (예술의 전당) / 제 1회 판화 미술제 (예술의 전당) / 22회 성신조각회전 (성신여자대학 미술관) / 21회 한국여류조각회전 (미술회관) / 한국미술협회전 (예술의 전당) / 한국여류 조각회 초대전 (한국여성개발원) / 95 조각그룹 광장 작은 조각전 (유경갤러리) 성신여자대학교 개교30주년 기념 미술 초대전 (성신여자대학교 미술관) 1994 한국미술 2000년대의 주역들 (운현궁 미술회관 기획) / 21회 성신 조각회전 (유경갤러리) / 5회 FREE WILL전 (갤러리 도올) / 국회의사당 야외 전시회 (국회의사당) /서봉 갤러리 개관 기념 32인 조각전 (서봉갤러리) 1993 20회 성신조각회전 (예술의 전당) / 20회 한국여류조각가 회전 (미술 회관) / 서울 예술고등학교 동문전 (예술의 전당) / 35회 한국미술 청년작가 정기전 (예술의 전당) / 미술 횟불인 선교회전 (63갤러리) / ’93 광장전 (예술의 전당) / 4회 FREE WILL전 (소나무 갤러리) / 예맥화랑기획 조각그룹 광장 초대전 (예맥화랑) 1992 19회 성신조각회전 (단성갤러리, 청년미술관)/ 33회 한국미술 청년작가회전 (대구, 울산, 청주) / ’92 광장전 (예맥화랑) 1991 18회 성신조각회전 (예술의 전당)18회 한국여류조각가회전 (미술회관) / 2회 FREE WILL전 (단성갤러리 기획) / 31회 한국미술 청년작가회 군산전 (군산) / 광장전 (예술의 전당) / 1회 성란초대전 (성신여대 학생회관) / 의식과 표현의 확산전 (롯데 미술관) 1990 29회 한국미술 청년작가회전 (미술회관) / 17회 성신조각 회전 (미술회관) / 17회 한국여류 조각가 회전 (무역센터 현대백화점 미술관) / 1회 FREE WILL전 (바탕골 미술관) / 한국여류 조각가회 L.A전 1989 16회 한국여류조각가회전 (미술회관) / 16회 성신조각회전 (동덕 미술관) / 세종문화회관 11주년 기념 초대전 (세종문화회관) / 80년대의 여성 미술전 (금호미술관) 1988 30대 작가전 (청년미술관) / 동물 조각전 (청년미술관) / 한불 현대 조각전 (파리) / 15회 한국여류 조각가 회전 (미술회관) / 예우대전 (개교 35주년) (프레스 센터) / 15회 성신조각회전 (예총회관) / 28회 한국미술 청년작가회전 (국립현대 미술관) 1987 일 갤러리 개관 기념전 (일 갤러리) 1986 25회 한국미술 청년작가회전 (대전문화원) / 26회 한국미술 청년작가회전 (서울갤러리) / 10 X 10전 (청년미술관) / 13회 성신조각회전 (미술회관) / 13회 한국여류 조각가회전 (미술회관) / 서울 현대 미술제 (미술회관) / 방글라데쉬 비엔날레 출품 (방글라데쉬) 1985 23회 한국미술 청년작가회전(시청 전시실, 강릉) / 24회 한국미술 청년작가회전(미술회관) / 12회 성신조각회전(동덕 미술관) / 12회 한국여류 조각가회전 (미술회관) / 한국여류 조각가회 로마전 1984 22회 한국 미술 청년작가 회전(미술회관) / 11회 성신조각회전 (TOTAL 미술관, 장흥)11회 한국여류 조각가회전(미술회관) 1983 10회 성신조각회전(청년미술관) / 한국여류 조각가회전(미술회관) / 19회 한국미술 청년작가회전(청년미술관) / 20회 한국미술 청년작가회전(수화랑, 대구) / 서울예술고등학교 동문전 (세종문화 회관) / 제3미술관 개관기념 초대전 (제 3 미술관) / 야외조각을 위한 드로잉전 (청년미술관) / 한국 국제우편 미술전 (부산) / 21회 한국미술 청년작가회 정기전 (청년미술관) / 한국 여류조각가회 동경전 / 중앙 미술대전 입선 (중앙일보사) / 대한민국 미술 대전 입선 (문화부) 1982 9회 성신조각회전 (공간 미술관) / 9회 한국여류조각가 회전 (미술회관) / 한국 여류조각가회 파리전 (파리) / 18회 한국미술 청년작가회전 (시립문화 회관, 전주) / 대한민국 미술대전 입선 (문화부) / 중앙 미술대전 특선 (중앙일보사) 1981 8회 성신조각회전 (미술회관) / 8회 한국여류조각가 회전 (미술회관) / 16회 한국미술 청년작가회전 (전시공간화랑, 제주) / 17회 한국미술 청년작가회전 (미술회관) / 중앙미술대전 입선 (중앙일보사) 1980 7회 성신조각회전 (청년작가회관) / 7회 한국여류조각가 회전 (미술회관) / 6회 난우미전 (디자인 포장 센터) / 15회 한국미술 청년작가회전 (미술회관) / 29회 국전 입선 (문화부) 1979 74 - 77전 (청년작가회관) / 6회 성신조각회전 / 12회 한국미술 청년작가회전 / 6회 한국여류조각가 회전 (미술회관) / 13회 한국미술 청년작가회전 / 5회 난우미전 (디자인 포장 센터) / 한국미술 청년작가회관 이전 개관 기념전 (청년작가 회관) / 28회 국전 입선 (문화부) 1978 한국미술 청년작가회 신년 소품전 (청년작가회관) / 한국미술 청년작가회 하계 소품전 (청년작가회관) / 한국미술 청년작가회 송년 소품전 (청년작가회관) / 입체전 (청년작가회관) / 조각 14인전 (청년작가회관) / NEW ART전 (청년작가회관) / 한국미술 청년작가회 개관 1주년 기념전 (국립현대미술관) / 작업 다섯전 (청년작가회관) / 11회 한국미술 청년 작가회 파리전 / 동아 미술대전 입선 (동아일보사) 1977 한국미술 청년작가회 개관 기념전 (미술회관) / 조각 21인전 (청년작가회관) / YOUNG 13인전 (청년작가회관) / 한국미술 청년작가회 하계 소품전 (청년작가회관) / 성신 대학원전 (성신여대 학생회관) / 6회 한국미술 청년작가회전 (국립현대 미술관) / 4회 성신조각회전 (청년작가회관) 1976 3회 성신조각회전 (청년작가회관) 1975 2회 성신조각회전 (청년작가회관) 1974 1회 성신조각회전 (청년작가회관) [작품설치 및 소장] 경기도 안산 푸르지오 브리파크, 천안 레이크타운 2차 푸르지오, 동탄 2신도시 오피스텔, 롯데 속초 리조트, 세종시 어반아트리움 행정중심복합도시, 서초 우성 1차 래미안, 사당 래미안 로이파크, 수원 가정법원, 서울시 청량리 롯데캐슬, 서울시 용두동 한일아파트, 충북 청원 오송 주택공사아파트, 경기도 구리 금호아파트, 서울시 노원구청 입구, 서울시 방배동 리첸시아 주상복합, 경기도 동탄시 밀레니엄파크부산시 화명동 롯데아파트, 서울시 회현동 롯데 주상복합, 인천시 영종동 현대아파트, 대구시 대우프르지오아파트, 경남 거제군 현대 힐스테이트 아파트, 서울시 은평구 응암동 이서빌딩 , 서울시 동대문구 패션거리 주차장, 서울시 마포구 현대 벤처빌, 경기도 파주시 롯데파주아울렛, 국립현대미술관 미술은행, 서울시립미술관 작품소장, 서울시 추모공원 미술작품설치, 중국 난징 2014년 유소년올림픽 공원, 경기도 이천 롯데아울렛, 당산동 오피스텔, 롯데명동호텔, 경기도 광명 롯데아울렛, 진주 롯데쇼핑몰, 을지로 기업은행 본점, 부산 아난티 콘도

  • [작가노트] Space IDEA 2025 – 본질의 사유(김정희) 몇 해 전, 지인이 건넨 오래된 수세미 하나가 내 작업의 방향을 근본적으로 뒤흔들었다. 말라버린 껍질 속, 얽히고설킨 다층적 구조와 생의 흔적은 마치 오랜 시간 축적된 우주의 질서처럼 느껴졌다. 작은 자연물 안에 펼쳐진 복잡한 조형은 단지 생물학적 결과가 아닌, 생명과 공간, 시간과 구조가 맞물린 하나의 세계 질서였다. 그 순간, 공간은 내게 단순한 배경이나 조형의 무대가 아니라, 생명이 깃든 살아 있는 장(場)으로 다가왔다. 그것은 플라톤이 말한 ‘이데아의 세계’ 처럼, 물질 너머에 존재하는 본질을 향한 시각적 은유이자, 내가 조각이라는 매체로 도달하고자 했던 근원적 질문의 실마리였다. 조각가에게 공간은 늘 어려운 주제였다. 그러나 수세미를 통해 나는 공간을 단지 비워진 여백이 아니라, 에너지와 존재, 그리고 시간의 흔적이 교차하며 ‘의미를 생성하는 장’으로 바라보게 되었다. 이로써 조각은 실체의 구축이 아닌, 존재의 지각(Perception)과 그 본질을 포착하는 ‘사유의 조형’이 된다. 이번 전시 「Space IDEA 2025 – 본질의 사유」는 내가 지난 몇 년간 붙잡아온 근원적 질문들에 대한 응답이다. 나는 철사라는 선적인 재료를 통해 인체를 형상화한다. 그러나 그 안은 비어 있다. 비워낸 실체 위에 세워진 선들은 단지 형상을 구성하는 윤곽이 아니라, 보이지 않는 에너지의 흐름과 정신의 진동을 시각화하는 구조이다. 이는 단단한 육체를 해체하고, 그 너머에 있는 존재의 본질—즉 보이지 않지만 ‘느껴지는 것’—을 드러내려는 시도이다. 메를로-퐁티가 말한 것처럼, 우리는 세계를 보는 것이 아니라 느끼며 인식한다. 내 조각 속 ‘비워진 인체’는 그 자체로 지각의 대상이기보다는 지각의 장이 된다. 선들은 그 장 안에서 정신의 흐름, 시간의 압축, 그리고 무의식의 떨림을 시각화한다. 특히 이번 전시에서는 수세미에서 출발한 철사 조형물을 통해, 인간과 자연, 그리고 우주의 상호 연결성과 순환성을 보다 직접적으로 드러내고자 했다. 그물망처럼 구성된 철사 구조는 들뢰즈가 말한 리좀(rhizome) 구조를 떠올리게 한다. 위계나 중심 없이 끝없이 퍼지고 얽히는 선들 속에서, 나는 생명과 시간, 존재의 흔적을 직조해낸다. 공간에 전시된 작업에서는 인간과 자연, 자아와 타자, 실재와 상상의 경계가 모호하게 뒤섞이는 지점을 형상화했다. 뫼비우스의 띠를 연상케 하는 조형 구조 속, 한쪽은 인간의 형상, 반대편은 추상화된 인물로 구성되어 있다. 이 구조는 대립적 이항을 넘어서, 존재가 고정되지 않고 끊임없이 생성되고 변화하는 **과정적 존재성(being-in-process)**을 이야기한다. 작품은 관객의 시선을 되돌려 ‘나’를 보게 하며, 인식과 지각의 주체로서의 자신을 다시 자각하게 만든다. 나는 관객이 단지 작품을 보는 존재가 아니라, 작품에 의해 ‘보이는 존재’가 되기를 바란다. 결국, 이 모든 작업은 ‘나’라는 존재로부터 출발한다. 나의 의도와 상관없이, 타인의 시선은 새로운 해석을 만들어낸다. 플라톤의 이데아가 감각 세계를 넘어선 참된 실재라면, 나는 그 감각과 실재 사이의 간극을 철사의 선으로 연결하고자 한다. 이번 전시는 나에게 있어 하나의 전환점이다. 조각이라는 매체를 통해 자연의 생명성과 인간 존재의 깊이를 동시에 사유하고자 했다. 그 속에서 공간은 단지 형상을 담는 그릇이 아닌, 존재와 에너지가 끊임없이 충돌하고 생성되는 철학적 무대가 된다. 이 작업들이 관객에게도 본질에 대한 질문을 던질 수 있기를 바라며, 멈춰 서서, 그 선들과 공간 사이에서 ‘자신’이라는 존재를 새롭게 마주하게 되기를 바란다. 그것이 바로, 내가 이 조각을 통해 그리고자 한 사유의 여정이다.

작가의 다른 작품

김정희 작가의 다른 작품들을 보실 수 있습니다.
총 6개 작품 (아트서울전 6점, 티마니프전 0점, , AP111 0점)
위로 화살표

Menu

©갤러리아미
  • 대표자 고윤정
  • 주소 서울시 강남구 압구정로 445
  • 사업자등록번호 211-86-69622
  • 전화번호 02-514-5568
  • 통신판매업 신고번호 2023-서울강남-01450
  • 개인정보 관리책임자 이지헌 manager@artseoul.com

(C)Copyright ARTSEOUL.COM
Since 2025 ALL RIGHTS RESERVED
저작권법, 부정경쟁방지 및 영업비밀보호에 관한 법률 등에 근거하여
본 사이트에 수록된 컨텐츠를 허가없이 사용하는 행위를 금지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