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인으로

white birch(w)

Acrylic on canvas 120×60cm 2023
  • KRW 10,000,000
  • 작가소개·약력

    [개인전 및 단체전] 개인전 21회 2인전3회 Group Exhibition 400회 Art Figuratif 한국구상대제전 KIAF(Korea International Art Fair) Art Fair Hong Kong, Shanghai. Affordable Art Fair(Singapore,Hong Kong,Korea) Art Busan Art Expo New York, Malaysia Korea Contemporaty Figurative Artist Association 대한민국 예술원 기획 초대전 아세아 수채화 연맹전 한국 수채화 10인전(일본 고베) 일본 현대 수채화전 초대(동경) 서울 국제 수채화전 등 국내외 전시 다수 출품 대한민국 미술대전 심사위원외 다수 심사 수상 한국 구상 대제전 우수작가상 2013 한국 수채화 공모전 제1회 우수상, 제2회 대상 (1985,1986)

  • [평론] 김종원의 자작나무 예찬 그의 자작나무는 그 형태가 자유롭게 느껴진다. 부대끼지 않은 채 살아온 존재로서의 나무인 셈이다. 물론 두서너 그루가 함께 하는 경우도 적지 않다. 그럴 경우에도 다급함이나 답답함이 느껴지지 않고 오히려 다정스러워 보인다. 그러고 보니 그는 어느새 나무로서의 이미지가 아니라 의인화된 자작나무의 초상화를 표현하고 있다는 생각이다. 이로써 알 수 있듯이 그는 사실주의 미학과는 다른 방향을 선택한 것이다. 사실주의 형태미를 따르면서도 보다 창의적이고 현대적인 조형언어 및 어법을 추구하겠다는 욕망을 숨기지 않는다. 자작나무를 소재로 하고 있음에도 현실의 나무 형태를 그대로 재현하지 않고 주관적으로 재해석한다. 전체적인 이미지는 분명히 사실적이지만, 그림으로서의 이미지는 실제와 다르다는 사실이 이를 입증한다. 그가 이상적으로 여기는 자작나무의 이미지는 그 자신의 미의식 및 미적 감각이 만들어낸 가상의 공간, 즉 회화적인 공간에나 존재할 뿐이다. 그런데도 그의 작품에 나타나는 자작나무는 생동감을 발산한다. 분명히 실제와는 엄연히 다른 회화적인 이미지인데도, 생생한 생명의 기운이 감지된다. 빛과 음영의 대비를 극적으로 강조하는 표현기법으로 인해 시각적인 이미지가 강렬해 짐으로써 생동감이 증폭하기 때문이다. 수많은 미술가와 문학가들 또는 음악가들에 의해 찬미 되어온 자작나무에 대한 그만의 방식으로 해석한 또 다른 형태의 ‘자작나무 예찬’이라고 할 수 있다. 한마디로 그의 자작나무는 자연상태의 이미지를 벗고 심미적인 관점 및 미적 감각의 옷을 입고 있는 초상화이다. 감각적이면서도 지적이며 세련된 형태미를 보여주는 그의 자작나무는 그림의 존재 이유가 어디에 있는가를 보여준다. 실제에서 보고 느낄 수 없는 회화적인 아름다움을 구현하는 것이다. 현실을 빙자하면서도 조형적인 해석에 의해 실제와는 또 다른 조형적인 환상의 미를 추구한 결과임은 말할 나위도 없다. 미술평론가 신항섭의 “지적이고 세련된 감각의 자작나무” 중 일부

작가의 다른 작품

김종원 작가의 다른 작품들을 보실 수 있습니다.
총 9개 작품 (아트서울전 8점, 티마니프전 1점, , AP111 0점)
위로 화살표

Menu

©갤러리아미
  • 대표자 고윤정
  • 주소 서울시 강남구 압구정로 445
  • 사업자등록번호 211-86-69622
  • 전화번호 02-514-5568
  • 통신판매업 신고번호 2023-서울강남-01450
  • 개인정보 관리책임자 이지헌 manager@artseoul.com

(C)Copyright ARTSEOUL.COM
Since 2025 ALL RIGHTS RESERVED
저작권법, 부정경쟁방지 및 영업비밀보호에 관한 법률 등에 근거하여
본 사이트에 수록된 컨텐츠를 허가없이 사용하는 행위를 금지합니다.